2003/4/23(수) 23:35 (MSIE6.0) 218.155.238.114 1024x768
정지용 시인, 관련기사 모음  

[펌 /동아일보]2003/04/29 18:53


"정지용, 1950년 9월 소요산서 사망"

…회고문 입수 공개


‘향수’의 시인 정지용(사진·1902∼?)의 마지막 행적과 관련된 증언 자료가 최근 북한에서 입수됐다.


한국방송대 박태상 교수(48·국문학)는 1993년 북한의 ‘통일신보’에 실린 시인 박산운의 회고문 ‘시인 정지용에 대한 생각’을 일본 조총련계의 조선대 김학철 교수를 통해 입수, 공개했다.


이 회고문에 따르면 서울 돈암동의 정지용 집을 자주 드나들었던 박산운은 1992년 북한에서 중견기자로 일하고 있는 지용의 셋째 아들 구인씨(69)가 보내온 편지를 받았다. ‘길이 막히지 않았더라면 동두천 뒷산 소요산 기슭에 묻혀 있다고 들은 아버지의 유골을 찾아 봉분을 해드리려 했었는데 통분하기 그지없다’는 내용이었다.




그 뒤 구인씨는 박산운과 함께 아버지의 최후를 목격했다는 소설가 석인해 교수의 집을 찾아갔다. 6·25전쟁 당시 김일성종합대학에서 교편을 잡고 있던 석 교수는 1950년 9월 21일 문화공작대 임무를 수행하고 북으로 돌아오던 중 동두천에서 정지용을 만났다는 것.


석 교수는 “그날 아침에 동쪽으로 길을 잡고 (정지용과) 함께 오고 있었는데 불시에 미군 비행기가 날아 왔다. 일행을 발견한 비행기는 곧바로 기수를 숙이더니 로켓포탄을 쏘고 기총소사를 가하였다”며 “비행기가 사라진 뒤 정지용을 찾아보니 기총소사에 가슴을 맞고 이미 숨져 있었다”고 증언했다.


지금까지 남한에서는 정지용이 1950년 평양교화소(교도소)에 수감 중 폭격으로 사망한 것으로만 알려져 왔다. 북한의 경우 2001년 완간된 ‘조선대백과사전’(전 30권)의 제17권에서 정지용의 사망 원인이나 장소를 밝히지 않은 채 ‘9월 25일 사망했다’고 기술하고 있다.


박 교수는 “조선대백과사전에 신채호 한용운 김소월 등과 함께 정지용 시인이 수록된 것은 그의 문학이 북한에서 완전하게 부활한 것을 의미한다”며 “박산운 회고문에도 ‘북의 대학들에서는 선생의 시들과 문학적 업적이 강의되고 있다’고 밝혀 반세기 동안 ‘부르주아적 반동작가’로 북한문학사에 등장하지 못했던 지용의 문학적 복권을 뒷받침한다”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5월 17일 오전 10시 충북 옥천 충북과학대 강당에서 열리는 ‘옥천 정지용문학제’에서 이 같은 주장을 담은 논문 ‘북한문학사에서의 정지용 문학의 평가’를 발표한다. 정지용의 문학을 기리는 ‘서울지용제’는 5월 11일 오후 3시 세종문화회관 소강당에서 열린다.


조이영기자 lycho@donga.com


-----------------------------------------
[펌/조선일보], 2003년 4월 24일자
[문화] 정지용 시인, 시어 8975개 사용해

'차다' 많고 '뜨겁다' 전혀 없어


 
▲ 정지용  
 

‘향수’의 시인 정지용(鄭芝溶·1902~195?)이 남긴 시는 모두 132편이고, 그 시들에 사용된 어휘수가 8975개에 이른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문학평론가 최동호(崔東鎬·55) 교수(고려대)는 ‘5월의 문화인물’로 지용이 선정된 것과 5월15일이 지용 탄생 101주년인 것을 계기로 월간 문학사상 5월호에 게재한 특별기고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최교수는 편의상 지용의 시어들을 신체어·감각어·감정어·동물어·식물어· 무생물·기타 등 7개 갈래로 나누어 통계표를 제시했다. 특히 ‘신체어’ 갈래에서 손·눈·발 같은 어휘의 비중이 높은 것은 “그의 시가 구체적인 확인방법을 통해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이 글은 밝히고 있다.

또 ‘감각어’에서는 ‘차다’라는 시어가 가장 많고 ‘뜨겁다’는 전혀 나오지 않는 것을 나타났다. 지용은 신앙의 은혜는 ‘달다’고 표현한 반면, 고향의 풀피리 소리는 ‘쓰다’고 표현했다.

‘감정어’에서는 ‘울다(우놋다)’, ‘슬프다’가 높은 빈도를 보였다. 이는 지용 시의 기본 정서가 슬픔의 감정임을 뜻한다고 최교수는 설명했다. ‘울다’의 주체는 대부분 사람이 아니라 동물이었는데, “대상물에 감정을 이입시켜 시적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는 특징”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동물어’ 부문에서는 모두 110종의 동물이 333회 등장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새는 34종이 96회, 말(馬)은 8종이 34회 나온다. “새는 시적 자아의 반영이고 말은 남성적 이미지로 동경의 대상”으로 해석됐다. ‘식물어’에는 107종이 365회 나온다. 꽃과 나무의 빈도가 높았으며, 외래종 꽃이름도 구체적이었다. ‘바다’와 ‘산’ 같은 시어도 높은 비중을 보였으며, ‘하늘’, ‘별’, ‘달’ 같은 천체어도 자주 등장했다.

지금까지 지용의 시어들은 고어와 방언의 빈번한 사용 때문에 난해한 인상을 주거나 오독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 어감과 청각적 효과를 살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변형된 시어가 사용된 경우도 있었다. 최교수의 이번 분석은 “그러한 지용 시의 밑뿌리를 탐색하고 실증적 통계와 해석을 통해 지용시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만들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金侊日기자kikim@chosun.com )










                    수정/삭제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