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4/21(일) 20:18 (MSIE5.5) 211.198.158.21 1024x768
인터넷 용어사전(필수 용어 풀이 53 항목)  


>인터넷 용어사전<



*anonymous FTP
anon FTP 라고도 불리며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모든 일반인에게 파일을 제공하는 서비스
 
*ANSI
미국표준 연구소(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를 일컫는 것으로 아스키 코 드와 같은 기본적인 표준을 정하여 유포시키는 기관
 
*archie
anonymous FTP를 통하여 보급되는 수많은 프로그램들이 보관된 장소를 가르 쳐주는 서비스
ARPA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ARPAnet을 보조하는 정부기관을 말하며, DARPA 인터넷으로 바뀜
 
*ARPAnet
ARPA의 지원을 받아 유지되어 왔으며 네트웍에 있어서 선구적인 역할 담당. 초기네트웍 연구의 근간이 되고, 동시에 인터넷의 백본(backbone)이 됨. ARPAnet 은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네트웍이 아니고 전용선에 의해 상호연결된 패킷망이다.
*backbone
전산망 속에서 근간이 되는 네트웍 부분을 연결시켜 주는 고속전산망으로서 ARPAnet가 인터넷의 백본이 되었다.
 
*BITNET(Because It's Time Network)
BITNET은 주로 대학에 약 2500여 개의 호스트 컴퓨터 연결되어진 NJE를 근 거로하는 국제 교육망이다. 행정지원과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EDUCOM에 의 해 운영된다. 이것은 미국과 멕시코의 BITNET, 캐나다의 NETNORTH, 유럽의 EARN의 3개의 주요 네트웍으로 구성된다.
 
*bounce
전송상 에러가 발생하여 수신되지 못하고 되돌아온 메일.
 
*bps
Bit Per Second, 데이터 전달속도 단위.
 
*client
네트웍 서비스의 사용자를 지칭하며 자원을 서버에 의존하는 컴퓨터를 의미하 기도 한다.
 
*CompuServe
미국에서 제공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상업통신 서비스로 각종 뉴스, 정보제공 은 물론, 온라인 쇼핑, 항공기 예약 등이 가능하며, 특히 동호회 운영이 잘 발 달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는 포스데이타가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국내 서비스를 하고 있다.
 
*CREN
BITNET와 CSNET가 합해져서 CREN으로 되었다.(Corporation for Rearch and Educational Networking의 약자)
 
*CSNET
Computer + Science Network. 전산학에 관련된 연구를 하는 기관들을 위한 데이터 망으로서 1981년 NSF를 주축으로 설립되었다. 이 네트웍망은 PhoneNET라는 게 이트웨이를 통해 별모양의 네트웍으로 구성되어 있다. CSNET는 대학, 연구기관 회사들이 가입하고 있다.
 
*cyberspace
윌리엄 깁슨의 소설 속에 등장하는 컴퓨터에 의해 이루어진 세상 또는 사회를 일컫는다. 미래의 사회를 일컫는 용어로 자주 쓰이고 있다.
 
*datagram
인터넷상을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의 기본단위로 테이터와 함께 출발지와 도착지 의 주소를 포함하고 있다. 큰 메세지는 작은 일련의 IP datagram 들로 쪼개어진다.
 
*disassembling
이진 프로그램을 사람이 읽는 기계어로 변환시키는 작업.
 
*DNS
Domain Name System. 인터넷 이름을 그에 해당하는 인터넷숫자로 바꾸는 방법.
 
*domain
인터넷의 주소를 표시하는 이름으로서 컴퓨터 시스템의 이름, 조직이름, 조직 의 종류, 국가 이름이 각각 도트(.)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ethernet
미국 제록스회사에 의해 개발된 10Mbps의 전송속도를 가진 네트웍구조로서 이식성이 뛰어나 거의 전기종의 컴퓨터에 사용될 수 있어 LAN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FDDI
Fiber Distributed Date Interface의 약자. ANSI 에 의해 확정된 광통신을 기반으 로 하는 신기술로서 100 Mbps의 전송속도를 가지며 토큰링 기술을 이용한다.
 
*FidoNET
사설 BBS 간의 전자우편 전달 및 게시판 운영을 목적으로 톰 제닝스에 의해 개발된 통신 프로그램으로서 국내에서는 주한 외국인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FTP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전송시키는 방법에 관한 인터넷 표준전송규약
 
*gateway
둘 이상의 네트웍을 연결시켜 한 네트웍에서 다른 네트웍으로의 패킷을 라우 팅하는 특별한 목적으로 제작된 컴퓨터. 특별히 인터넷 게이트웨이는 그것을 연결하는 네트웍 사이에 IP datagram을 라우팅한다. 게이트웨이는 물리적인 망 위에서 최종 목적지까지 전달될때 까지 다른 게이트웨이로 정보단위를 라우 팅한다.
 
*GNU
Gnu is Not Unix의 약자. Free Software Foundation에 위해 개발된 유닉스 호환 운영 시스템
 
*gopher
미국 미네소타 대학에서 개발한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에 기초한 인터넷상의 서비스를 일컫는다.
 
*header
출발지와 도착지의 주소와 에러검사 필드로서 구성되어 실제의 데이터 앞에 위치한 패킷의 일부분internet, NSFnet, ARPnet나 Milnet와 같은 수많은 독립된 네트웍들을 공통의 주소지정방법을 통하여 존재하는 하나의 거대한 논리적인 네트웍.
 
*internet number(= IP address)
특정 시스템의 일컫는 4바이트로 이루어진 주소. 예를 들어, Kreonet의 nic의 internet number는 134.75.30.11 이다. Resolve라는 것이 hostname과 internet number(adress)를 서로 변환시켜 준다.
 
*IRC
Internet Relay Chat의 약자. 국제 채팅프로그램으로서 하이텔이나 천리안의 대 화방, 포스서브나 컴퓨서브의 CB Simulator를 연상하면 된다. 400여개 이상 의 대화방을 갖추고 있으며, 세계 각국의 사람들과 서로 관심있는 주제 아 래에서 대화할 수 있는 곳이다.
 
*LAN
Local Area Network 의 약자. 수천미터까지의 단거리에서 고속으로 작동하는 물리적 네트웍.
 
*mailing list
토론그룹에 가입된 수많은 사람들의 리스트를 관리하는 중앙컴퓨터에서 전 자우편 시스템에 의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특정주제에 관심을 가진 사 람들끼리 그룹을 형성하여 해당분야의 최신정보와 의견을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토론 그룹.
 
*MUD
Multi User Dimension 또는 Multi User Dungeon의 약자. 인터넷의 멀티유저 롤 플레잉 게임. 인터넷이라는 통신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text를 기반으로 하는 게임으로 게임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과 협동심을 필요로하며 자신의 점수 (experience)를 높여 가면서 40개의 레벨까지 도달하는 게임이다.
 
*NFS
Network File System의 약자. 선 마이크로 시스템이 개발하여 네트웍상의 각 컴 퓨터들이 시스템에 대하여 로컬로 존재하는 것처럼 파일을 공유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
 
*NIC
Network Information Center를 지칭하는 말로 네트웍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주 는 기관.
 
*NMC
Network Management Center를 지칭하는 말로 네트웍에 대한 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조직.
 
*NOD
Network Operation Center 를 지칭하는 말로 네트웍을 유지 보수하는 책임을 가 지고 있는 조직.
 
*node
네트웍을 연결하는 컴퓨터를 말하며 호스트라 일컬어지기도 한다.
 
*NSFNET
National Science Foudation Network의 약자. 연구분야의 적용을 목적으로 퍼져있 는 고속 인터넷으로 NSFnet Backbone과 NSFnet 지역망으로 구성되며, 인터넷 을 구성하는 네트웍이다.
 
*OSI
Open Systems Interconnection의 약자. 이종간의 컴퓨터나 네트웍들을 서로 연결시 키는 데 있어서 국제적인 표준이 되도록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송규약의 집합. 유럽에서 OS를 개발하는데 대부분의 일을 했으며, 이것이 완성되는데로 사용 될 전망이다.
 
*packet
패킷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타 단위.
 
*POSIX
Portable Operating System Interface의 약자. 유닉스에 근거한 운영체제.
 
*protocol
컴퓨터의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기 위해 따라야 하는 규약.
 
*RFC
the internet's Request For Comments documentations series의 약자. RFC는 인터넷 연구와 개발에 관련된 연구노트로서 컴퓨터 통신과 통신의 표준규약에 관련 된 어떤 주제도 포함되어 있다.
 
*rlogin
Remote Login의 약자. Telnet과 아주 흡사한 인터넷상의 서비스. 텔넷이 사용 자들에게 원하는 서비스 전체를 제공할 수 없었을때 LAN 상의 버클리 유닉 스 시스템 사이에서 사용하기 위해 고안된 프로그램이다.
 
*route
네트웍상 정보단위가 출발지에서 시작하여 목적지 까지 도달하는 경로.
 
*router
네트웍의 현상태를 계속 파악하면서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패킷을 전송 해주는 일을 하는 장치
 
*server
프린터나 파일과 같이 동일한 자원을 네트웍상의 다른 컴퓨터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설정된 컴퓨터를 일컬으며, 한 예로 디스크 공간을 다른 컴퓨터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Network File System (NFS) server는 서버의 한 예이다.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의 약자.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전자메일을 전달하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
 
*SNA
Systems Network Architecture의 약자. IBM의 테이타 전송을 위한 표준규약.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의 약자. 인터넷상에서 원거리로 긴이나 파일전송,E-mail서비스를 위해 ARPA에 의해 만들어진 전송규약들.
 
*telnet
원거리 로긴을 위한 인터넷 표준 전송규약. 텔넷은 사용자의 터미널이 멀리 떨어진 컴퓨터에 직접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USENET
전세계적 규모의 컴퓨터 사용자들의 모임으로서 뉴스그룹을 만들어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는 곳이다. 컴퓨터, 종교, 취미, 오락, 비즈니스, 과학 등과 관 련된 수백개 이상의 뉴스그룹이 있다.
 
*uucp
Unix To Unix Program의 약자. 주로 유닉스 시스템에 이용되고 있는데, 데이 터를 보관하고 있다가 다른 시스템의 요구가 있을때 전달해주는 시스템으 로 store-and-forward 시스템이라고 한다.
 
*WAN
Wide-Area Network의 약자. 수만 킬로미터에 걸쳐 연결되어 있는 네트웍.
 
*whois
사용자들이 NIC에 기록된 인물정보나 도메인, 네트웍, 호스트등의 정보를 요구할 때 제공하도록 해주는 프로그램


                    수정/삭제     이전글 다음글                  

 
처음 이전 다음 목록